본문


봉합사


‘녹는 실’은 흡수성 봉합사라고 합니다. 흡수성 봉합사는 보통 이물작용이 없이 자연 흡수되고, 조직을 당기는 힘은 60일 이내에 대부분 사라집니다. 피부 안쪽의 진피, 근막 같은 깊은 구조를 봉합할 때 적합하며, 흡수성 봉합사를 피부에 사용하면 공기접촉으로 흡수가 잘 되지 않습니다. 피부에 흡수되지 않고 남아 있는 봉합사는 미관상으로도 흉하고, 이 부위에서 염증과 감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피부 봉합을 제외’한 거의 모든 조직 봉합에 사용한다고 보면 됩니다. 소나 양의 내장을 원료로 만든 캣거트(Catgut), 화학 합성소재로 만든 바이크릴(Vicryl), 덱손(Dexon)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녹지 않는 실’은 비흡수성 봉합사라고 하며 조직을 당기는 힘이 최소 60일 정도 유지됩니다. 제거할 수 있는 부위 즉, ‘피부 가장 바깥쪽 층’을 닫을 때 주로 사용합니다. 비흡수성 봉합사를 피부 안쪽에 사용하면, 상처가 회복된 후에도 실이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감염의 원인이 되는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 안쪽이라도 영구적 지지가 필요한, 힘줄이나 혈관 봉합 등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누에에서 추출한 실크(Silk), 화학 합성소재로 만든 나일론(Nylon)과 프로렌(Prolene) 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plus! 봉합 관리와 실밥 제거


봉합 후 8시간 이내에는 수돗물로 부드럽게 씻어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또한, 환자가 직접 24시간 후에 상처를 씻고 ‘발적, 열감, 고름(discharge)’ 등 감염 징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너무 과도하게 씻어 상처가 벌어지거나 감염 등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는 보통 병원에 가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쁘게 봉합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봉합 후 ‘상처를 어떻게 관리하느냐’도 매우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