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수술비보험 갱신형 VS 비갱신형

갱신형과 비갱신형 보험은 가입하기 전 고민하게 되는 부분 중 하나입니다. 가입한 상품이 갱신형인지 비갱신형인지에 따라 보험료 부담과 보장 기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두 가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갱신형

비갱신형

보험료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보험료 인상

가입 시 책정한 보험료를 정해진 기간 동안 변동 없이 납입 기간 동안 납부

납입 기간

보장받는 기간에 걸쳐 보험료 납부

납입 기간이 보장 기간에 비해 짧아 납입 기간이 지나도 남은 보장 기간까지 보장 받음


갱신형 보험과 비갱신형 보험은 각각 ‘대여’와 ‘할부’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갱신형 보험은 물건의 사용 기간을 정하고 매월 대여료를 지불하는 것처럼 보장받을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단, 갱신 시 보험료는 인상됩니다.

비갱신형 보험은 가전제품과 같이 큰 비용이 드는 물건을 구매할 때 몇 개월 간 할부로 결제하고 할부가 끝나도 계속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산출된 금액을 보험 계약 시 정한 납입 기간 동안 나누어서 동일한 보험료를 납부합니다. 그리고 납입 기간이 끝난 뒤에는 보험 만기까지 보장만 받으면 됩니다.


- 갱신형 보험

갱신형 보험은 계약 기간이 종료되면 해당 계약의 보험료에 변동이 생기는 보험입니다. 따라서 갱신 주기마다 보험료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30년 갱신 보험은 30년마다 보험료가 갱신된다는 뜻입니다. 만약 30세에 해당 보험에 가입했다면 가입하고 첫 30년인 60세까지의 발병 위험률을 기준으로, 그 이후 30년은 대략 90세까지의 위험률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산출하기 때문에 갱신 시 보험료가 인상됩니다.

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갱신형 보험은 보험료 납입 기간과 보장 기간이 동일합니다. 보험료를 내야만 해당 보험의 보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비갱신형 보험

비갱신형 보험은 보험 가입 시 설정한 납입 기간까지 보험료 변동 없이 같은 금액을 납입하는 보험을 말합니다.

만약 20년납 80세 만기로 설정을 했다면 20년 동안 계약서에 명시된 보험료를 납부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암보험을 비갱신형으로 가입한다면 가입한 날부터 만기일까지의 발병 위험률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책정하고 책정된 보험료를 20년이라는 납입 기간 동안 동일한 금액을 분할하여 납부합니다.


가입하려는 사람의 나이와 목적에 따라 갱신형이 좋을 수 있고, 비갱신형이 좋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가입을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